0%

개요

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여러 이유로 힙 덤프를 분석할 일이 생깁니다. 힙 덤프 분석을 통해서 메모리 누수나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부분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됩니다.

처음 힙 덤프를 분석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그런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힙 덤프 예제 문제와 함께 힙 덤프 분석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. 문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문제 정답은 글 맨 아래에 있습니다.

https://github.com/marinesnow34/dump-example

더 읽어보기 »

서론

오라클 클라우드는 타 클라우드에 비해 free tier가 매우 훌륭합니다. Arm 기반으로 생성을 하면 최대 24GB의 메모리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가입부터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이 매우 매우 힘듭니다. arm 인스턴스를 생성하다 보면 매우 높은 확률로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게 됩니다.

1
Out of capacity for shape VM.Standard.A1.Flex in availability domain AD-1. Create the instance in a different availability domain or try again later. If you specified a fault domain, try creating the instance without specifying a fault domain. If that doesn’t work, please try again later. Learn more about host capacity.
더 읽어보기 »

이 포스팅은 [코드트리 x 글또 블로그 챌린지 2기]를 통해 코드트리 체험권을 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.

이 외에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고, 개인적인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.

새로워진 코드트리

2025년을 맞이하여 코드트리가 새롭게 리뉴얼되었습니다. 옛날에도 사용하던 사이트여서 호기심에 리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.
코드트리

더 읽어보기 »

서론

MySQL을 사용하다 보면 insert나 집계 쿼리를 실행할 때 동시성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컬럼에 락을 걸 수 없고 그렇다고 테이블 레벨에서 락을 걸면 성능 이슈가 발생하게 됩니다.

이런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네임드락(Named Lock)입니다. MySQL 네임드락을 사용할 때 특징과 주의해야할 점을 살펴보겠습니다.

네임드락(Named Lock)이란?

더 읽어보기 »